728x90
반응형
if문이 너무 많아졌을때 왠지 보기 싫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.
비슷한 조건인데 하나하나 if문을 걸어주게 되는거죠
if (a === 1) console.log(a);
else if (a === 2) console.log(a);
else if (a === 3) console.log(a);
else if (a === 4) console.log(a);
else if (a === 5) console.log(a);
정말 간단히 예로 들자면 이런식으루요.
어떻게 보면 별로 다르지않을 수 있습니다.
좀더 정돈되고 보기좋은 코딩을 하는것이 어떻게 보면 개발자의 노력이 아닐까 합니다.
그렇기에 switch를 사용하게 되면 좀더 깔끔하게 코딩을 할 수 있습니다.
switch(a) {
case 1: // a === 1 일경우
console.log(a);
break; //위 코드 실행후 switch문 종료
case 2: // a === 2 일경우
console.log(a);
break; //위 코드 실행후 switch문 종료
case 3: // a === 3 일경우
console.log(a);
break; //위 코드 실행후 switch문 종료
case 4: // a === 4 일경우
console.log(a);
break; //위 코드 실행후 switch문 종료
case 5: // a === 5 일경우
console.log(a);
break; //위 코드 실행후 switch문 종료
default: // a 가 위의 값들중 아무곳에도 포함되지 않을경우
console.log('기본');
}
위와 같이 switch를 사용하면 됩니다.
728x90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