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반응형
기존의 function 함수를 좀더 간결하게 표현하기위해 화살표 함수라는 것이 나왔습니다.
이 화살표 함수를 정의할때 몇가지의 규칙이 있는데
예제를 통하여 알아보도록 합시다
function test(val) {
console.log(val);
}
// 위의 코드를 간결하게 표현 합니다
// return을 사용하지 않아도 반환되는 상황
const test = (a, b) => a + b; // 자동으로 a+b의 값이 리턴되어 test변수에 들어갑니다
// 하지만
const test = (val) => {
console.log(val);
}
// 위와 같이 괄호(코드 블록)를 넣었을 경우 자동으로 return 해주지 않습니다
// return을 적지않으면 undefined를 반환합니다
const test = (val) => {
console.log(val);
return val;
}
// 위와 같이 해주어야 val의 값이 반환됩니다
const test = a => a+a; // 매개변수가 하나일경우 ()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
728x90
반응형